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9

버스정류장 옆 편의점, 짧은 시간 안에 고객을 사로잡는 기술 서울 강서구의 한 대로변. 하루 평균 3,000명 이상이 오가는버스정류장 바로 옆에 위치한 편의점이 있다.이곳은 “우리 동네 24 편의점”이며, 운영자는 창업 7년 차인 정동철 사장님이다.이 글은 그가 짧은 체류 시간이 전부인 이 입지에서어떻게 고객을 단골로 전환했는지실전 운영 전략을 소개한다.1. 정류장 옆 편의점은 ‘스피드 장사’다정 사장님은 말한다.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은 평균 5분. 그 짧은 시간 안에 필요한 걸 사고, 기억에 남아야 해요.”그래서 그는 진열, 응대, 결제까지 모두1분 안에 끝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예: 가장 많이 팔리는 물품은 입구 3m 이내에 배치,출입문 → 계산대 → 냉장고 → 나가는 동선이 흐름이 되도록 구성.2. 입지는 유리하지만, 체류시간은 짧다정류장 앞이라는 위치는 .. 2025. 5. 15.
수제 비누 만들기로 창업한 주부, 손끝에서 시작된 브랜드 경기도 용인 수지구의 한 아파트. 그곳 작은 주방에서 매일 아침비누를 만드는 주부가 있다.그녀의 이름은 윤지은. 두 아이를 키우며 가정을 지키는 동시에 자신의 브랜드 ‘비누숲’을 운영 중인 42세 창업자다.이 글은 그녀가 어떻게 수제 비누를 시작했고,일상을 유지하며 브랜드를 만들어낸 과정을 담고 있다.1. 시작은 아이의 아토피였다윤지은 씨의 둘째 아이는심한 아토피 피부염을 앓았다.병원 약으로도 낫지 않자, 그녀는 생활 전반을 바꾸기 시작했다.세제, 샴푸, 비누까지 직접 성분을 공부하고 가장 먼저 시도한 것이 ‘비누 만들기’였다.2. 첫 비누는 실패의 연속이었다처음 만든 비누는딱딱하게 굳지 않거나 거품이 거의 없었다.그러나 그녀는 매일 레시피를 바꾸고 유튜브, 온라인 클래스, 외국 포럼까지 찾아봤다.3개월.. 2025. 5. 14.
무인 빨래방 창업자와 자동화 시스템, 사람 없이도 돌아가는 구조의 비밀 경기도 남양주 어느 신도시 아파트 단지 옆,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무인 매장이 있다. 이곳은 “세탁 365 셀프빨래방”.출입구는 자동문으로 열리고, 계산대는 없으며, 사람 없이세탁기와 건조기만 돌아가는 공간이다.이 매장을 운영하는 사람은 창업 3년 차, 39세의 이도현 대표. 그는 오늘도 매장을 직접 지키지 않지만 가게는 멈추지 않는다.이 글은무인 빨래방을 운영하는 한 창업자의 시스템 전략과 그가 만들어낸 자동화의 일상을 이야기한다.1. 창업 동기는 퇴사와 가족이었다이도현 대표는 원래 IT 기업의 기획자였다. 출퇴근 시간은 고정됐지만,아이와 보내는 시간은 불규칙했다.2020년, 둘째 아이가 태어나던 해에 퇴사를 결심했고, 그 결과 선택한 것이 무인 빨래방이었다.“시간을 벌 수 있는 장사를 찾았어요... 2025. 5. 14.
반찬가게 창업 5년차, 사장님의 살아남은 비결 서울 동작구 한 주택가 골목, 지나치기 쉬운 작은 간판 아래매일 새 반찬 냄새가 피어오르는 가게가 있다.이곳은 “오분도 반찬”이라는 이름의 1인 운영 반찬가게이며, 올해로 창업 5년 차를 맞은 박유진 사장님이 지키고 있다.오늘은 사장님이 어떻게 이 반찬가게를 5년 넘게 유지했고,어떤 전략으로 단골을 만들고, 매출을 유지했는지그 구체적인 이야기를 따라가 본다.1. 시작은 주방 아르바이트였다박유진 사장님은 요리를 전공하지 않았다.회사를 다니며 저녁엔 반찬가게에서 주방 아르바이트를 했다.그 일은 단순 반복이었지만, 매일 달라지는 반찬의 이름, 고객의 표정, 폐기되는 음식의 양이 그녀에겐 의미 있게 다가왔다.“정해진 반찬보다, 사람의 리듬에 맞는 반찬을 만들고 싶었어요.”2. 첫 창업은 7평짜리 가게였다1년간 .. 2025. 5. 14.
시골 책방 사장님의 SNS 운영 전략, 감성으로 연결된 관계의 기술 강원도 평창군의 한 시골 마을. 논밭 사이를 지나야 닿는 작은 건물 안에 간판도 없는 책방이 하나 있다.이곳은“구름책상”이라는 이름의 로컬 서점이며, 운영자는 올해 40세가 된 정세연 사장님이다.그녀는 이 책방을 통해 책을 파는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을 모으는 일을 한다. 그 핵심엔 바로SNS 운영 전략이 있다.1. 시작은 '책 소개'가 아니라 '공간 소개'였다정세연 사장님은 책방을 연 첫해, SNS에 책 관련 콘텐츠를 거의 올리지 않았다.대신창밖의 눈 풍경, 책상 위의 찻잔, 손님이 적어둔 낙서등을 올렸다.그녀는 말한다. “책 보다 먼저, 이곳의 공기와 리듬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SNS는 책을 소개하는 도구가 아니라, 책방의 감각을 전달하는 도구였다.2. 감성은 ‘꾸밈’이 아니라 ‘일상’이다피드.. 2025. 5. 13.
푸드트럭 커플의 전국 장터 투어, 움직이며 살아가는 방식 여기 한 쌍의 커플이 있다. 이들은 고정된 주소 없이푸드트럭 한 대로 전국의 장터, 플리마켓, 지역 축제를 따라다닌다.그들의 삶엔 출근 시간도 없고, 퇴근길도 정해져 있지 않다. 그날 장터가 열리는 곳이 곧 하루의 시작이 된다.오늘은 이 커플이 어떻게 트럭을 꾸렸고, 어떻게 사랑과 장사를 동시에 지켜냈는지‘이동형 브랜드’로서의 생존 전략을 따라가 본다.1. 시작은 퇴사였다김지수와 송하린, 두 사람은 원래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던 평범한 커플이었다.하지만 반복되는 야근, 채워지지 않는 삶에 대해 고민하다가2021년 퇴사를 결심했다.그들이 떠난 이유는 단 하나. “같이 뭔가를 만들고 싶었어요.”2. 메뉴는 ‘찹쌀도넛’ 하나로 정했다트럭 장사의 메뉴를 고민하던 중 지수의 어머니가 직접 만든찹쌀도넛 레시피를 .. 2025. 5. 13.